논문명 |
저자 |
소속기관 |
페이지 |
1. 젠더, 노동, 감정 그리고 정치적 각성의 순간 - 여성 사회주의자 정칠성(丁七星)의 삶과 활동에 대한 연구 |
노지승 |
인천대학교 |
7~50 |
2. Pussy Riot 사건을 통해 본 러시아 젠더 담론의 지형 - 젠더, 민족주의, 소비에트 노스탤지어 |
안지영 |
경희대학교 |
51~77 |
3. 모성・참정권・전쟁 그리고 국가 - 근대 일본 여성운동의 통시적 고찰 |
이은경 |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
79~113 |
4. 클라우디아 요사의 <슬픈 모유>에서 나타나는 라틴아메리카 원주민 페미니즘 연구 |
최은경 |
고려대학교 |
115~138 |
5. 숫자 상징을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
김낭예 |
경희대학교 |
139~170 |
6. 동아시아와 식민지 조선에서 크로포트킨 번역의 경로들과 상호참조 양상 고찰 |
김미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171~206 |
7. 야쿠트 구비서사시 ‘올롱호’ 연구 시론: 『용감한 뉴르군 보오투르』를 중심으로 |
김중순 |
계명대학교 |
207~239 |
8. 영상을 이용한 일본현대소설의 수업방안 - 소설이 원작인 영화작품을 중심으로 |
김활란 |
경희대학교 |
241~264 |
9. 시각 미디어에 의한 대재앙적 사건의 트라우마 규정과 그에 따른 문제들 - “반모방 이론”에 대한 비평적인 분석을 통해서 |
서길완 |
건국대학교 |
265~288 |
10. 21세기 러시아 문화정책 차원에서 바라본 메가 스포츠이벤트 |
송정수 |
중앙대학교 |
289~326 |
11. 랭보의 「야만」의 난해성 : ‘자기텍스트성’과 ‘의미’ |
신옥근 |
공주대학교 |
327~354 |
12. 중국전통시기 兩大 음악문화 고찰 |
이태형 |
중앙대학교 |
355~376 |
13. ‘홀로코스트’ 서사의 한계와 스미스의 『거울 속에반영된 분노』에 제시된 치유 서사의 가능성 |
정순국 |
경희대학교 |
377~404 |
14. 탈역사 서술과 공간의 표상 - 영화 <군중낙원>을 중심으로 |
진성희 |
숭실대학교 |
405~428 |
15. 한국현대소설의 중국어번역현황 및 독자수용양상 고찰 –최근 5년간을 중심으로 |
최은정 |
계명대학교 |
429~457 |
16. Effects of Lexical Aspect on the Interlanguage of Ibibio ESL Learners: Later than Sooner |
Willie U. Willie |
University of Uyo |
459~4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