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안공동체 인문학

      대안공동체 인문학 : 공유와 연결, 지속가능한 유토피아 연구

      언제부터인가 우리는 희망이나 ‘다른 삶’의 가능성을 말하는 것 자체가 불편해진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희망 고문’은 ‘헬조선’, ‘흙수저’, ‘이태백’, ‘N포세대’ 등 우리시대가 낳은 수많은 절망의 어휘사전에 등재된 단어들 중에서도 가장 암울하고 냉소적인 신조어다.
      변화를 향한 도전과 더 나은 삶에 대한 기대, 서로를 향한 격려를 그 근본에서부터 무장 해제시키는 이 짧은 단어 속에는 청년세대의 현실이해와 비관적 정서가 응축되어 있다.

      광화문으로 쏟아져 나와, 전 세계가 주목했던 촛불집회를 통해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루는 데 동참했던 젊은이들이 실제적인 자신의 삶과 현실 앞에서 느끼는 이 출구 없는 냉소와
      절망, 비관주의를 우리는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신문 지면을 가득 채운 수많은 사건들 속에 드러나는 우리 사회의 과도한 스트레스와 분노지수, 불행과 소외, 폭력과 혐오,
      극단적 이기주의 앞에서 우리시대 인문학은 어떤 ‘희망의 원리’를 말할 수 있고, 어떻게 그것을 구체적인 삶의 영역에서 실천적 에너지로 모아낼 수 있을까?

      연구 아젠다 ‘대안공동체 인문학 : 공유와 연결, 지속가능한 유토피아연구’는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 위에 세워졌다.

      연구의 개요

      • 불평등과 갈등, 혐오와 차별, 불안과 절망이 지배적 정서로 자리한 한국사회의 문제를 젠더, 계급, 세대, 생태, 기술이라는 다섯 가지 하위주제를 통해 분석한다. 또한
      • 다양한 대안공동체운동과 담론을 지구적 맥락에서 살펴 대안공동체 인문학의 학문적·실천적 체계를 정립한다.
      • 이러한 연구 성과를 한국적 맥락으로 투사하여 지속가능하고 실현가능한 정책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불평등과 갈등, 혐오와 차별의 악순환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대안 공동체 모델과 실행 가능한 정책 제안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음 두 영역으로 나누어 진행될 것이다.

      • 인간공동체 : 젠더, 계급, 세대의 변수에 따른 사회 문화적 차별과 그에 맞서는 대안 공동체 실험과 가치
      • 인간/비인간의 경계를 넘어서는 공동체 : 인간과 자연환경, 인간과 기술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와 그것을 넘어서는 대안관계 설정

      연차별 계획

      • 1차년도 연구 현실분석과 진단 - 총체적 삶의 위기와 공동체 해체

        2000년대 들어 한국사회는 여성혐오와 젠더 전쟁, 사회양극화와 경제 불평등, 세대 갈등과 가족 해체 등의 심각한 사회적 문제에 시달리고 있고, 4차 산업혁명과 신기술의 도전은
        기존 사회 운영 원리에 근본적 재구성을 요구하고 있다. 1년차 연구에서는 총체적 삶의 위기와 공동체 해체에 이른 한국사회의 현황을 분석·진단함으로써 그 극복의 실마리를 찾아본다.

        전체주제 주요영역 하위주제 연구내용
        총체적 삶의 위기와
        공동체 해체
        차별과 혐오를 넘어서는
        인간공동체
        젠더 여성혐오현상과 젠더전쟁의 분석
        계급 양극화로 인한 경제 불평등과 주변화된 존재들의 차별과 배제에 대한 분석
        세대 세대갈등과 가족의 해체현상 분석
        인간과 비인간이 공존하는
        포스트휴먼 공동체
        기술 AI가 야기하는 탈인간화와 가상공간의 사회갈등 해부
        생태 생태위기의 심화와 인간-자연-세계의 상호소외현상 진단
      • 2차년도 연구 대안담론과 실천 - 지속가능한 대안공동체의 비교분석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야기한 공동체 해체의 상황에서도 공동체를 유지·발전시키고 새롭게 재구성하기 위한 노력들은 세계 곳곳에서 실험되어 왔다.
        2년차에서는 한국사회의 주요 문제들에 대한 지속가능한 장기적 대안들을 탐색할 것이다.
        2년차 연구는 자본주의 세계체제 중심부 뿐 아니라 동아시아, 중남미, 북유럽 등 주변부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대안운동에 주목한다.
        우리는 외국 사례를 단순히 참조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이 한국사회에 갖는 의미와 그것의 인문적 가치와 전망을 탐색한다.

        전체주제 주요영역 하위주제 연구내용
        지속가능한 대안공동체의
        비교분석
        차별과 혐오를 넘어서는
        인간공동체
        젠더 성적 반동을 넘어 성평등의 대안정치 모델 탐색
        계급 지속가능한 공유경제와 초국적 공동체 구상 계획
        세대 세대 공감형 가족공동체와 지역공동체 플랜 제시
        인간과 비인간이 공존하는
        포스트휴먼 공동체
        기술 포스트휴먼공동체와 미디어 네오토피아 건설 구상 제안
        생태 탈근대 자연권과 노장 사상의 현대적 전유 가능성 탐색
      • 3차년도 연구 실천프로그램과 정책 제안 - 한국사회를 위한 대안모형 제시

        3차년도에서는 2차년도에 탐색한 지속가능한 대안공동체 모델을 21세기 한국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인문학은 근원적 문제제기와 비판에는 능했지만 현실을 변화시키기 위한 구체적 대안을 마련하는 일에 나태하거나 무능했다.
        3년차에서는 한국현실에 착근하면서도 인문적 상상력을 갖춘 대안공동체의 윤곽을 그리고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과 정책으로 구체화하고자 한다.

        전체주제 주요영역 하위주제 연구내용
        한국사회를 위한
        대안모형 제시
        차별과 혐오를 넘어서는
        인간공동체
        젠더 남녀동수법 정책 개발
        계급 기본소득 실시방안과 공유도시건설 모형 제시
        세대 인륜공동체 모델과 공감교육을 통한 세대통합 방안 제시
        인간과 비인간이 공존하는
        포스트휴먼 공동체
        기술 기계와 공진화하는 포스트휴먼 주체 교육과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정책 개발
        생태 순환적 공유경제와 지속가능한 농업공동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