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명 |
저자 |
소속기관 |
페이지 |
1. 한국 전근대 여성의 주체적 삶의 양상 고찰 - 젠더 연구적 관점을 중심으로 - |
이화형 |
경희대학교 |
7~33 |
2. 경극과 가부키의 공연공간과 연출양식의 비교 연구 |
오경희 |
아주대학교 |
35~64 |
3. 『三合明珠寶劍全傳』의 판본과 서사에 대한 고찰 |
김명신 |
경희대학교 |
65~94 |
4. 프로크루스테스의 초상 :로버트 프로스트 초기 시의 화자들 |
이삼출 |
경희대학교 |
95~118 |
5. 『주역(周易)』의 분석심리학적 이해 - 건괘(乾卦) ·곤괘(坤卦)를 중심으로 - |
신성수 |
동방대학원대학교 |
119~153 |
6. 라틴아메리카의 독립과 이베로-아프로-아메리카 공동체의 역할 |
차경미 |
부산외국어대학교 |
155~175 |
7. 中日 모더니즘 소설의 수용과 전개에 대한 試論- 新感覺派를 중심으로 |
김경석 |
경희대학교 |
177~196 |
8. 铁凝의 『玫瑰门』 다시 읽기 - 여성인물의 ‘되기’를 중심으로 - |
최은정 |
계명대학교 |
197~216 |
9. 淸代 說文學者의 金文 연구 - 金文에 대한 段玉裁의 학술적 관점을 위주로 |
오제중 |
건국대학교 |
217~240 |
10. 사람의 신체에 대한 러시아어 슬랭의 의미론적 분석 |
김성완 |
계명대학교 |
241~262 |
11. 팟캐스팅의 한국어 교육 적용 사례 연구-경영학 전공 학습자를 대상으로- |
김유미 |
강남대학교 |
263~286 |
12. 차용어 유입에 따른 어휘의미 확장 - 현대 러시아어를 중심으로 - |
강덕수 |
한국외국어대학교 |
287~308 |
13. 중국어 말하기 교재 속의 인칭직시에 대한 일고 - ‘我們’을 중심으로 |
박찬욱 |
서울여자대학교 |
309~330 |
14. 전문용어 조어 및 번역 방법론에 대한 시론 |
이현주 |
서울과학종합대학원 |
331~370 |
15. 수수동사 ‘くれる・くださる’에 관한 고찰 - 에도기부터 다이쇼기의 작품속의 여성화자의 사용례를 중심으로- |
양정순 |
경희대학교 |
371~394 |
16. EPS-TOPIK 시행 현황 및 관계자 요구 분석 |
정호진 |
계명대학교 |
395~414 |
17. 드라마 「神雕俠侶」를 활용한 대학 중국어 교육 |
최태훈 |
한양대학교 |
415~4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