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출판

      뉴노멀의 철학
      저자

      김재인

      어떤 변화는 일시적이지만, 어떤 변화는 돌이킬 수 없다

      근대적 가치에서 벗어나 새로운 질서를 상상하라

      코로나가 세계적으로 유행하며 많은 것을 바꿔놓았다. 기존의 질서와 체제, 트렌드가 무너지고 순식간에 새로운 세계로 진입하고 있다. 김재인 교수는 이러한 상황을 ‘코로나 혁명’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혁명’은 정치적인 비유가 아니라, 한 체제가 더 이상 지탱하지 못하고 다른 체제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사건을 뜻한다. 코로나 혁명은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적인 흐름들을 바꿔놓을 뿐 아니라, 우리 사회를 지탱하던 개념과 가치, 사상들을 재고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혁명은 근본적이다.

      예를 들어 코로나 확진자의 동선을 공개하는 문제에서 ‘개인의 인권’과 ‘공동체의 안전’이 대치되며 논란이 일었다. 둘 다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포기할 수 없는 근본적인 가치다. 하지만 우리가 근본적이고 보편적이라고 생각하는 가치들은, 사실 특정한 시대적ㆍ지역적 맥락에서 탄생한 경우가 많다. ‘인권’도 마찬가지다. 서구에서는 왕과 교황, 제후 등 폭력적 권력에 대항하며 ‘시민-개인’이라는 개념이 성형되었고 이들에게 인권이 주어진다고 믿었는데, 처음에 시민-개인은 굉장히 좁은 범위(상류-남성-백인-성인)에서만 인정되다가 오랜 투쟁을 거쳐 신분 성별, 종교, 인종 나이 등을 가로지르며 범위가 확산된다. 즉, 인권의 반대편에는 항상 폭정이 전제되어 있었다. 한국에서는 독재정권이나 권위주위적인 권력에 맞서 인권 개념이 성립된다. ‘프라이버시’와 ‘안전’이라는 가치 간의 갈등도 이 맥락에서 재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코로나 사태는 의료시스템이나 경제적 건전성뿐 아니라, 우리가 딛고 서 있는 사상적 기반에 도전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그리고 우리가 전제해왔던 개념과 가치, 이 책에서 주로 다루는 ‘영토’, ‘인권’, ‘사회계약’ 같은 근대적 가치들이 더 이상 우리가 사는 세상을 적절하게 지탱해주지 못한다는 점을 일깨운다. 애써 무시하고 미뤄왔지만, 이제는 정말 새로운 토대를 마련해야 할 순간이 온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