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명 |
저자 |
소속기관 |
페이지 |
1. 영화 <김씨표류기>: 현대 글로벌 소비사회의 사회학적 보고서 |
신정아 |
한국외국어대학교 |
7~33 |
2. 와 한국의 문화 : 부뤼노 바르베(Bruno Barbey)의 사진, <서울, 조계사>를 중심으로 |
권용준 |
고려사이버대학교 |
35~54 |
3. 미국문화와 라틴문화의 ‘어긋난 조우’와 탈경계성 연구: 테오도르 루스벨트와 호세 마르티, 그리고 1898년 미서 전쟁을 중심으로 |
신명아 |
경희대학교 |
55~85 |
4. 한국문학의 ‘세계문학’ 지향에 관한 역사적 고찰 |
김종수 |
경희대학교 |
87~106 |
5. 프랑스에서의 아랍어와 아랍문화의 현황과 전망 분석 - Sabhan Rabina Al-Baldhawe의 논문을 중심으로 |
정일영 |
인하대학교 |
107~129 |
6. 야쿠트의 종교혼합 현상에 대한 고찰: ‘아르치 지에테’(Archie Jiete)의 건립을 중심으로 |
김중순 |
계명대학교 |
131~158 |
7. 한국인의 占風俗과 『占察經』에 나타난 占의 역할 |
이학주 |
강원대학교 |
159~183 |
8. 과달루뻬 성모 신앙에 대한 인식 연구 |
박종욱 |
부산외국어대학교 |
185~212 |
9. 미제와 승냥이 - ‘조국해방전쟁’기의 반미관에 대한 연구 |
남원진 |
건국대학교 |
213~236 |
10. 『겐지모노가타리』에 나타난 벚꽃의 상징성 |
김정희 |
단국대학교 |
237~265 |
11. 근대 초 조선민족성과 조선미의식 담론의 논리화 방식 : 안확(安廓)과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를 중심으로 |
이선이 |
경희대학교 |
267~290 |
12. 지카마쓰 후기 작품군에 대한 고찰 |
한경자 |
경희대학교 |
291~312 |
13. 21세기 한국 소설의 라틴아메리카 소설 경향 - 황석영, 임철우, 김연수, 박형서 소설을 중심으로 |
함정임 |
동아대학교 |
313~336 |
14. 서사시에 나타난 ‘민족’ 형상화에 관한 비교 연구 - 고은의 『백두산』과 리욱의 『고향 사람들』, 『풍운기』를 중심으로 |
장은영 |
남서울대학교 |
338~360 |
15.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기 위한 현대성담론 - 林徽因과 凌叔华의 여성주의문학을 중심으로 |
고혜경 |
경희대학교 |
363~389 |
16. 크리스티나 로제티의 『모드』 : 빅토리아 시대 시인의 자기 단념과 자기표현 |
하명자 |
부산대학교 |
391~420 |
17. 중국京劇의 保全과 傳承 - ‘中國京劇音配像工程’에 대하여 |
오경희 |
아주대학교 |
421~452 |
18. 아돌포 비오이 까사레스 작품의 등장인물 연구 - 주인공과 반주인공, 주인공 화자와 편집자 화자를 중심으로 |
전용갑 |
한국외국어대학교 |
453~482 |
19. 한·중 형용사 통사론적 비교 연구 - 형용사의 특징과 기능을 중심으로 |
단명결 |
경희대학교 |
483~527 |
20. 朝鮮 文人과 交流한 淸朝 學者들의 文字學 硏究에 관한 小考 |
서한용 |
고려대학교 |
529~548 |
21. 멀티미디어 교수매체수업 설계를 위한 프리웨어 활용방안 - 중국어 회화수업을 중심으로 |
박찬욱 |
서울여자대학교 |
549~626 |
22. 프랑스 시민대학, “대학 밖 대학” 특성과 운영 |
황성원 |
건양대학교 |
597~626 |
23. 현대일본문장어의「老人」사용실태 - 国硏「ことばに関する新聞記事見出しデータベース」 「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를 분석대상으로 |
오미선 |
경희대학교 |
627~648 |
24. 간접증거성과 인식양상: 기능변이의 문제를 중심으로 |
홍택규 |
한림대학교 |
649~678 |
25. 바슐라르의 Logosphère와 언어적 몽상 |
홍명희 |
경희대학교 |
679~694 |
26. 결혼이주여성의 자기문화 스토리텔링 활용 표현교육 사례 연구 |
김영순 |
인하대학교 |
695~721 |
27. 모음체계 연구: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대상으로 |
허용 |
한국외국어대학교 |
723~741 |
28. 현대 중국어의 三音詞와 현용 한국 三音節 漢字語의 同形 同素語 비교 연구 |
최금단 |
대진대학교 |
743~773 |
29. 근세후기 에도어에 나타나는 断定表現의 樣相 |
엄필교 |
동서대학교 |
776~798 |